열왕기상(1 Kings) 성경공부
1. 열왕기서 서론(序論)
■ 열왕기서의 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의 책이름은 ‘멜라킴(סֵפֶר מְלָכִים: 왕들)’입니다. 70인역(Septuagint)에서는 열왕기가 분량이 많으므로 상·하로 구분하였습니다. 그 이름을 ‘왕국의 제 3째와 4째 책’이라고 불렀습니다. 열왕기(상·하)라고 불리어진 이유는 이스라엘 왕들의 즉위, 업적, 과실(過失)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입니다. 한글성경도 열왕기(列王記)라고 하였습니다.
■ 열왕기서의 저자와 기록연대
저자는 미상입니다. 어떤 성경학자들은 예레미야라고 하나 정확한 증거가 없습니다. 기록연대는 대략 주전 561-537년경으로 추정합니다.
■ 열왕기서의 기록목적
열왕기서는 솔로몬 왕정부터 유다왕국의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내용입니다. 기록되어가는 과정 중에서 목적을 시사해 주었는데 ① 유일신이신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에게 충성할 것을 가르쳐주기 위함이며 ② 나라의 부흥과 망함이 ‘여호와’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며 ③ 나라의 왕이 성실과 인자를 가지고 나라를 정치하면 축복을 주시고 다윗 왕과 같지 아니하면 징벌하셨음을 전달하려는데에 기록목적이 있습니다.
■ 열왕기서의 주제와 중심사상
뚜렷하게 흐르는 주제는 ① ‘분열된 원인’ ② 우상숭배에 대한 징계 중에도 씨앗을 남김입니다.
중심사상은 ① 언약에 의한 왕권 ② 솔로몬의 이중생활(인간성) ③ 유일하신 하나님의 섭리 ④ 하나님의 은혜로운 용서하심 ⑤ 선한 왕과 악한 왕의 대조입니다(충성과 불충성).
2. 열왕기상의 본론(本論)
열왕기상은 첫째, 통일된 왕국(1:1-11:43), 둘째, 분열된 왕국(12:1-22:53)입니다.
첫째, 통일된 왕국 (1:1-11:43)...솔로몬의 통치기간 40년
다윗의 죽음 후에 솔로몬(평강)은 기름부음을 받습니다. 왕이 된 그는 반대파들인 아도니야, 아비아달, 요압, 시므이를 숙청시키고 바로의 딸을 아내로 맞이합니다.
왕위 계승 후에 왕권 확립을 위한 방법으로 이방여인을 아내로 맞아들였습니다. 그래도 힘이 들었던 솔로몬 왕은 일천번제를 드린 후에 하나님으로부터 지혜를 얻게 됩니다.
그의 지혜가 특출남을 증거하는 창기의 아들 사건이 있습니다.
그후 그는 성전건축을 하고 성전을 하나님께 봉헌합니다.
봉헌이 끝난 뒤로부터 몰락의 현장으로 달려가듯 여러 가지 타락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 중에 특별한 사건을 예로 들면, ① 부유함이 주는 안일함과 게으름, ② 이방 여인과의 국제결혼, ③ 우상숭배 등입니다.
■ 1:1-2:46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기초과정--솔로몬 왕의 즉위
(1) 왕위 계승은 어디에서 이루어졌습니까?
(2)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었습니까?
(3) 솔로몬을 향한 다윗의 유언 중에서 당신과 관계있는 말씀은 무엇입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세상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당신의 비결은 무엇입니까?
■ 3:1-8:66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전개과정--솔로몬 왕의 정치
(1) 솔로몬 왕이 지혜를 구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솔로몬 왕의 정치적 참모는 어떻게 구성되었습니까?
(3) 성전을 지어 봉헌하고, 궁전건축을 했던 솔로몬의 중심은 무엇이었습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당신은 하나님께 지금 무엇을 구하고 있습니까?
■ 9:1-11:43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쇠퇴과정--솔로몬 왕의 타락과 죽음
(1) 솔로몬의 간청으로 성전건축 완공과 왕궁 건축 완성후 하나님께서 다윗 언약을 환기시켜 주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이었을까요?
(2) 솔로몬이 하나님의 언약을 파기한 사건들은 무엇입니까?
(3) 솔로몬의 언약파기로 인한 징벌은 무엇이었습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당신의 신앙적 생활의 침체(현재가 아니면 과거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둘째, 분열된 왕국 (12:1-22:53)...분열의 아픔, 동족상잔
좋은 지혜와 좋은 달란트를 잘못 사용한 솔로몬 왕은 자녀에게 쓸데없는 유산과 게으름, 안일함, 포악함만을 성숙시켜 놓은 채 죽었습니다. 분열은 어리석은 왕자 르호보암을 중심으로 두 지파가 남방왕국 유다가 되었고, 지용이 뛰어난 여로보암이 10지파의 왕이 되어 북방왕국 이스라엘을 세웠습니다.
■ 12:1-14:31까지는 분열된 과정을 기록--여로보암:르호보암
(1) 분열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2) 여로보암의 죄악은 무엇입니까?
(3) 르호보암의 죄에 대한 징벌은 무엇입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교회 안에 다툼이 있고 교파가 많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 15:1-16:28까지는 7왕의 정치적 모순--① 아비얌, ② 아사 -- 유다 왕, ③ 나답, ④ 바아사,
⑤ 엘라, ⑥ 시므리, ⑦ 오므리 -- 이스라엘 왕
(1) 왕들이 즉위할 때 순탄하였습니까?
(2) 선한 왕과 악한 왕을 구별하십시오.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바울은 고린도후서 5장 10절에서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고 했습니다. 우리에게 믿음이 있으면 있을수록 우리는 주님을 만날 소망 중에 선을 행하고자 합니다.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선한 일 한 가지를 작정하시기 바랍니다.
■ 16:29-22:40까지는 아합(악한 왕)과 엘리야의 대결입니다(이스라엘의 왕=아합, 유다의 왕=여호사밧).
(1) 아합(이세벨)과 엘리야의 신앙이 싸움을 했던 장소는 어디입니까?
(2) 엘리야에게 나타난 기적은?
(3) 나봇의 포도원을 빼앗은 아합과 이세벨의 최후를 평가하십시오.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기적과 이적, 치유의 은혜를 받았던 성도들의 간증이나 간증의 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3. 결론(結論) - 열왕기서의 핵심적 교훈
우리는 하나님께서 선왕 다윗에게 맺은 언약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다윗의 씨를 통하여 얻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사를 읽었습니다. ① 실패하는 원인은 하나님의 법도를 어기므로 말미암기에 ② 하나님의 보시기에 선을 행하여야 합니다. ③ 하나님은 통일된 나라에서도, 분열되는 과정에서도, 포로 된 상태에서도 영광을 받으시고자 하십니다. ④ 포로가 되어 희망이 사라지고 절망의 순간처럼 느껴지지만 하나님의 영원하신 언약은 남아있음을 알게 하여 줍니다. ⑤ 어느 경우에도 하나님을 배반하면 안되며 그의 깊은 사랑을 깨닫기까지 신앙의 맥을 잇고 살아가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생활적용과 기도(祈禱)
1. 주님! 우리의 교회와 단체, 그리고 국가가 하나되게 하옵소서!
2. 여호와 하나님 보시기에 선하고 의로운 것이 되게 하옵소서!
3. 소망이 넘치는 우리 가정되게 하옵소서!
*열왕기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모형(模型) 연구
1. 인물 -- 솔로몬 ㉠ 지혜의 왕, ㉡ 영광의 왕
2. 자연 -- 요단강(깨끗함을 얻게 되었던 아람 왕의 군대장관 나아만)
회리바람(엘리야의 승천시에 불었던 바람)
■ 열왕기서의 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의 책이름은 ‘멜라킴(סֵפֶר מְלָכִים: 왕들)’입니다. 70인역(Septuagint)에서는 열왕기가 분량이 많으므로 상·하로 구분하였습니다. 그 이름을 ‘왕국의 제 3째와 4째 책’이라고 불렀습니다. 열왕기(상·하)라고 불리어진 이유는 이스라엘 왕들의 즉위, 업적, 과실(過失)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입니다. 한글성경도 열왕기(列王記)라고 하였습니다.
■ 열왕기서의 저자와 기록연대
저자는 미상입니다. 어떤 성경학자들은 예레미야라고 하나 정확한 증거가 없습니다. 기록연대는 대략 주전 561-537년경으로 추정합니다.
■ 열왕기서의 기록목적
열왕기서는 솔로몬 왕정부터 유다왕국의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내용입니다. 기록되어가는 과정 중에서 목적을 시사해 주었는데 ① 유일신이신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에게 충성할 것을 가르쳐주기 위함이며 ② 나라의 부흥과 망함이 ‘여호와’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며 ③ 나라의 왕이 성실과 인자를 가지고 나라를 정치하면 축복을 주시고 다윗 왕과 같지 아니하면 징벌하셨음을 전달하려는데에 기록목적이 있습니다.
■ 열왕기서의 주제와 중심사상
뚜렷하게 흐르는 주제는 ① ‘분열된 원인’ ② 우상숭배에 대한 징계 중에도 씨앗을 남김입니다.
중심사상은 ① 언약에 의한 왕권 ② 솔로몬의 이중생활(인간성) ③ 유일하신 하나님의 섭리 ④ 하나님의 은혜로운 용서하심 ⑤ 선한 왕과 악한 왕의 대조입니다(충성과 불충성).
2. 열왕기상의 본론(本論)
열왕기상은 첫째, 통일된 왕국(1:1-11:43), 둘째, 분열된 왕국(12:1-22:53)입니다.
첫째, 통일된 왕국 (1:1-11:43)...솔로몬의 통치기간 40년
다윗의 죽음 후에 솔로몬(평강)은 기름부음을 받습니다. 왕이 된 그는 반대파들인 아도니야, 아비아달, 요압, 시므이를 숙청시키고 바로의 딸을 아내로 맞이합니다.
왕위 계승 후에 왕권 확립을 위한 방법으로 이방여인을 아내로 맞아들였습니다. 그래도 힘이 들었던 솔로몬 왕은 일천번제를 드린 후에 하나님으로부터 지혜를 얻게 됩니다.
그의 지혜가 특출남을 증거하는 창기의 아들 사건이 있습니다.
그후 그는 성전건축을 하고 성전을 하나님께 봉헌합니다.
봉헌이 끝난 뒤로부터 몰락의 현장으로 달려가듯 여러 가지 타락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 중에 특별한 사건을 예로 들면, ① 부유함이 주는 안일함과 게으름, ② 이방 여인과의 국제결혼, ③ 우상숭배 등입니다.
■ 1:1-2:46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기초과정--솔로몬 왕의 즉위
(1) 왕위 계승은 어디에서 이루어졌습니까?
(2)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었습니까?
(3) 솔로몬을 향한 다윗의 유언 중에서 당신과 관계있는 말씀은 무엇입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세상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당신의 비결은 무엇입니까?
■ 3:1-8:66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전개과정--솔로몬 왕의 정치
(1) 솔로몬 왕이 지혜를 구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솔로몬 왕의 정치적 참모는 어떻게 구성되었습니까?
(3) 성전을 지어 봉헌하고, 궁전건축을 했던 솔로몬의 중심은 무엇이었습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당신은 하나님께 지금 무엇을 구하고 있습니까?
■ 9:1-11:43까지는 통일된 왕국의 쇠퇴과정--솔로몬 왕의 타락과 죽음
(1) 솔로몬의 간청으로 성전건축 완공과 왕궁 건축 완성후 하나님께서 다윗 언약을 환기시켜 주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이었을까요?
(2) 솔로몬이 하나님의 언약을 파기한 사건들은 무엇입니까?
(3) 솔로몬의 언약파기로 인한 징벌은 무엇이었습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당신의 신앙적 생활의 침체(현재가 아니면 과거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둘째, 분열된 왕국 (12:1-22:53)...분열의 아픔, 동족상잔
좋은 지혜와 좋은 달란트를 잘못 사용한 솔로몬 왕은 자녀에게 쓸데없는 유산과 게으름, 안일함, 포악함만을 성숙시켜 놓은 채 죽었습니다. 분열은 어리석은 왕자 르호보암을 중심으로 두 지파가 남방왕국 유다가 되었고, 지용이 뛰어난 여로보암이 10지파의 왕이 되어 북방왕국 이스라엘을 세웠습니다.
■ 12:1-14:31까지는 분열된 과정을 기록--여로보암:르호보암
(1) 분열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2) 여로보암의 죄악은 무엇입니까?
(3) 르호보암의 죄에 대한 징벌은 무엇입니까?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교회 안에 다툼이 있고 교파가 많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 15:1-16:28까지는 7왕의 정치적 모순--① 아비얌, ② 아사 -- 유다 왕, ③ 나답, ④ 바아사,
⑤ 엘라, ⑥ 시므리, ⑦ 오므리 -- 이스라엘 왕
(1) 왕들이 즉위할 때 순탄하였습니까?
(2) 선한 왕과 악한 왕을 구별하십시오.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바울은 고린도후서 5장 10절에서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고 했습니다. 우리에게 믿음이 있으면 있을수록 우리는 주님을 만날 소망 중에 선을 행하고자 합니다.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선한 일 한 가지를 작정하시기 바랍니다.
■ 16:29-22:40까지는 아합(악한 왕)과 엘리야의 대결입니다(이스라엘의 왕=아합, 유다의 왕=여호사밧).
(1) 아합(이세벨)과 엘리야의 신앙이 싸움을 했던 장소는 어디입니까?
(2) 엘리야에게 나타난 기적은?
(3) 나봇의 포도원을 빼앗은 아합과 이세벨의 최후를 평가하십시오.
Q.T.를 위한 신앙적 질문 -- 기적과 이적, 치유의 은혜를 받았던 성도들의 간증이나 간증의 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3. 결론(結論) - 열왕기서의 핵심적 교훈
우리는 하나님께서 선왕 다윗에게 맺은 언약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다윗의 씨를 통하여 얻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사를 읽었습니다. ① 실패하는 원인은 하나님의 법도를 어기므로 말미암기에 ② 하나님의 보시기에 선을 행하여야 합니다. ③ 하나님은 통일된 나라에서도, 분열되는 과정에서도, 포로 된 상태에서도 영광을 받으시고자 하십니다. ④ 포로가 되어 희망이 사라지고 절망의 순간처럼 느껴지지만 하나님의 영원하신 언약은 남아있음을 알게 하여 줍니다. ⑤ 어느 경우에도 하나님을 배반하면 안되며 그의 깊은 사랑을 깨닫기까지 신앙의 맥을 잇고 살아가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생활적용과 기도(祈禱)
1. 주님! 우리의 교회와 단체, 그리고 국가가 하나되게 하옵소서!
2. 여호와 하나님 보시기에 선하고 의로운 것이 되게 하옵소서!
3. 소망이 넘치는 우리 가정되게 하옵소서!
*열왕기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모형(模型) 연구
1. 인물 -- 솔로몬 ㉠ 지혜의 왕, ㉡ 영광의 왕
2. 자연 -- 요단강(깨끗함을 얻게 되었던 아람 왕의 군대장관 나아만)
회리바람(엘리야의 승천시에 불었던 바람)
No comments:
Post a Comment